YTN은 어제 6·25 전사자의 유해를 발굴하고 있지만, 정작 신원이 확인되는 경우는 1.3%에 불과하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사업이 단순히 발굴 그 자체에 그치지 않기 위해선 유가족들의 DNA를 채취하는 방법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의 후속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십 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지만,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6·25 전사자들의 유해, <br /> <br />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놓은 유가족들의 DNA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들입니다. <br /> <br />전사자 신원 확인을 위해 4만5천 명이 넘는 유가족이 DNA를 제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DNA 제공은 구강 상피세포를 채취해서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구강의 세포를 떼어내는 방법은 현재 사용하는 DNA 분석 기법인 STR 검사에 최적화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비용도 1인당 7만5천 원 정도로 저렴합니다. <br /> <br />[장유량 /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센터장 : 유가족분들에게 가장 편하고, 보관도 용이하다 보니까 그 방법을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문제는 STR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져 유해 만 2백여 구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비율이 1.3%에 불과하다는 점. <br /> <br />대안으로 SNP 검사가 거론되는데, 이럴 경우, 검사 비용이 70만 원까지 올라가게 됩니다. <br /> <br />구강상피세포로 추출할 수 있는 DNA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혈액을 이용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숭덕 / 서울대 의대 법의학연구소 교수 : 혈액을 활용하면 검사 비용을 대단히 낮출 수가 있고요. 우리가 더 발전된 검사가 언제 나올지 모르면 그 검사에 대비해야 되는 부분이 있는데…. 상피세포는 지금 조금 부족한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SNP 검사를 이용했던 제주 4·3 사건 희생자 발굴 사업의 경우, 혈액을 이용해 신원 확인율은 15%로 높아졌지만, 비용은 1인당 30만 원 정도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수습하지 못한 6·25 전사자의 유해는 10만 구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부터라도 미래를 내다보고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구축해야 하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1905430380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